영어회화 학습에서 리스닝의 중요성은 수없이 언급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영어회화 학습을 이제 시작한 초보자에서부터 중, 상급자에게 이르기까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리스닝은 스피킹보다는 향상되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리스닝에 대한 부담
일반적으로 리스닝 학습의 목표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맥에서 한, 두 단어를 모르더라도 대략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반면 스피킹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이해시켜야 하기 때문에 더 명확하게 표현 되어야 하고 그런 과정 속에 말하는 사람의 에너지도 더 소모하게 됩니다.
영어회화 학습을 한 지 얼마 안 된 학습자에게는 이런 리스닝 학습이 상당한 부담이 되곤 합니다. 언뜻 생각하기에 말하기는 틀리더라도 몇 문장이라도 외우면 할 것 같은데, 리스닝이 안되면 어떤 대답을 해야 할지 조차 모르기 때문입니다.
리스닝이 안되는 이유
영어 리스닝은 크게 일상 대화 리스닝과 뉴스와 같은 방송 리스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리스닝이 안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영어의 소리조차 분간을 할 수가 없다 (초급 학습자인 경우)
- 영어의 소리는 들리나 단어를 잡아낼 수가 없다 (초급 학습자인 경우)
- 문장에서 한두 개의 단어는 잡아낼 수 있으나 나머지는 들리지 않는다. (초, 중급 학습자인 경우)
- 대부분의 단어를 잡을 수는 있고 문장의 의미를 대략 이해할 수 있으나 명확하진 않다 (중급 학습자인 경우)
-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모르는 단어를 유추할 수 있으나 명확하게 이해가 안 된다 (상급 학습자인 경우)
여기에서 추가로 언급되어야 할 부분은 초급, 중급, 상급의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 하는 것입니다. 절대적인 기준은 없겠지만, 현재 한국의 영어회화 학습자들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이 가이드라인을 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초급 : 6개월 이내의 학습 기간 (약 400~800 시간의 학습시간)
- 중급 : 1년 전후의 학습 기간 (약 1000~1,500 시간의 학습시간)
- 상급 : 2년 이상의 학습 기간 (약 2,000 시간 ~ )
• 관련글 : 코리안잉글리쉬(KoreanEnglish)에서 구분하는 영어회화 학습 단계는? »
리스닝의 어려움 : 초급 학습자
리스닝이 안 되는 이유 1번에서 영어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경우는 아직 영어의 소리에 익숙지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에 대한 노출 시간은 영어능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데 아직 노출 시간 자체가 얼마 안 된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학원을 다니거나, 스스로 학습을 해서 영어의 소리에 익숙해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뉴스나 영화 같은 어려운 교재보다는 일상 대화를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리스닝이 안 되는 이유 2번에서 소리로써 들리나 어떤 단어인지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중 가장 큰 이유는 단어의 정확한 발음을 모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단어를 글자를 통해서는 알고 있지만 발음으로 단어를 익히지 않았기 때문에 소리로는 들리지만 그 소리가 어떤 단어를 가리키는 지 알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3번의 이유는 2번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단어의 발음법 뿐만 아니라 연음 법칙이나 강세도 이유가 될 것입니다. 점점 학습 시간이 늘어나고 단계가 올라가면서 리스닝 향상을 위한 추가적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리스닝의 어려움 : 중급 학습자
중급 학습 단계 정도가 되면 대화시 상대방이 의미하는 바를 대략 이해하게 됩니다. 물론 어떤 주제에 대해 이야기 하느냐에 따라 이해의 정도는 다를 것입니다. 중급 학습 단계는 영어의 소리에 어느 정도 익숙해져 가는데 학습 교재도 초급 단계 보다 어려운 교재를 선택하곤 합니다.
이 때 리스닝시 이해가 안 되는 이유는 초급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어를 모르거나, 아는 단어여도 문장에서 다른 의미로 쓰여 그 의미 파악을 못하거나, 또는 문장 구조가 복잡하여 이해가 어려운 경우입니다. 또한 대화 속도가 빨라 정확하게 소리로 듣지를 못하는 경우도 해당할 수 있습니다.
리스닝의 어려움 : 상급 학습자
상급 단계로 넘어가게 되면 일상대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어로 정보를 얻는 단계가 됩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도 리스닝에 대한 어려움을 적지 않게 겪게 되는데, 특히 영화, 드라마를 보거나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 비디오, 뉴스 등을 볼 때 입니다.
물론 중급 단계에서도 이러한 교재로 학습을 하곤 하는데, 상급 단계보다 이해 수준은 떨어질 것입니다. 이런 시기에 리스닝 향상을 위해서는 해당 주제에 대한 다양한 어휘, 다양한 표현 방법 등을 익혀야 합니다.
만약 영어회화 학습에서 상급자라고 불리기까지 2년이 걸렸다면 진정한 상급자 레벨이 되는 데는 2년, 3년, 아니 그 이상의 기간이 걸릴 것입니다. 우리가 5년 동안 영어회화 학습을 했다고 해서 원어민의 이야기를 100%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리스닝 실력 향상의 즐거움
평생 영어만을 사용하는 미국인도 인도 사람이나 싱가포르 사람 심지어, 영어의 본고장인 영국 사람과 이야기를 할 때도 이해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합니다. 물론 그들이 영어를 못해서가 아니라 단어 선택 방법이나 발음, 표현 방법 등이 지역 및 환경에 따라 변화해 왔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서로의 표현 방식이나 발음에 익숙해져 어렵지 않게 의사소통을 하게 됩니다.
리스닝 실력 향상은 영어회화 학습을 하는 우리들에게 직접적인 즐거움을 주게 됩니다. 지식 획득의 즐거움, 다른 문화를 접하는 즐거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자료를 통한 즐거움 등.
리스닝 실력 향상을 위해서는 안 들리는 이유를 고려하면서 가능한한 많은 시간을 리스닝에 할애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아울러 영어회화 학습의 다른 부분도 함께 향상시켜야 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리스닝만 학습해서는 리스닝 실력을 상당한 수준으로 끌어 올리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Efforts First, Then Methods.
Other articles in EnglishListening
영어 리스닝은 영어 리딩을 어떻게 돕는가? 17 Aug 2022
리스닝 실력! 왜 계속 들어야 향상되는가? 15 Aug 2022
딕테이션(Dictation)은 효과적인 학습 방법인가요? 12 Jul 2019
상급 리스닝을 위한 7가지 핵심 팁 30 Nov 2018
어렵게 느껴지는 리스닝 자료 학습법 16 Feb 2018
Comments
우선, 영어문장을 읽을 때 왜 연음으로 읽어야 하나요? 빨리 읽기 위해서? 아니면 좀더 원어민에 가까운 발음을 위해서?
원어민이 연음을 왜 내는지..그들에게 들어보진 않았지만, 간단히 생각해 볼 수는 있습니다. 의사소통 수단인 언어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의미전달이기 때문에, 빠른 의사전달을 위해서는 불필요한 부분이나, 서로 쉽게 알수 있는 부분 등은 축약해서 말하는 것이겠죠.
그리고 이러한 연음은 그들이 말하는 매 순간 의식한다기 보다는 그동안의 습관에 의해서 그들의 입에 고착된 것입니다.
여기서 집고넘어갈 부분은 연음은 영어의 억양과 연관되고, 억양은 의미에 따라 강약 조절이 리드미컬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 강약 조절속에 이미 상대방이 알고 있는 부분, 중요하지 않은 부분등은 약하게 혹은 (편의에 의해)약간 다르게 발음이 되는 것이죠.
따라서 영어 학습을 한지 오래되지 않아 영어의 의미와 억양(혹은 발음)이 연결되지 않은 학습자라면, 연음 자체 훈련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습니다. 머리속에 의미단위의 영어 구절이 많아지고, 단어 자체의 발음이 올바르게 교정되며 비로소 연음을 문장속에서 보다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사실, 어느정도 학습 년수가 지나고, 연음을 많이 알수록 리스닝 실력도 점점 늘어나게 되는데요,
제가 추천해드리고 싶은 방법은,
사용을 위한(말하기) 연음은 자연스럽게 익혀가도록 놔두고요, 리스닝을 위한 연음은 원어민의 음성과 스크립트를 보며 의도적으로 어느정도 학습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면, 조금씩 조금씩 연음 구사도 좋아질것이라 생각됩니다.
예로, 문득 생각나는 구절이, take care of them 인데요. 원어민이 이 말을 할 때 보면 이것을 '테잌 케어r 어붬(혹은 업음)'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렇다는 사실을 알면 리스닝에는 분명 도움이 되지만요, of 의 발음이 정확치 않은 사람이 (예를 들면, of 의 뒷부분를 b로 발음) 이 발음을 따라하려고 하면 오히려 원어민이 못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도 도움되는 내용이 많네요. 명심할 것은 어느정도 정확한 발음 훈련 없이 한글로 쓰인 것을 보고 연음을 입으로 훈련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방법은 아닐것입니다.
http://ilikeen.tistory.com/296
혹시 지금이라도 들어갈수없을까요.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