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리스닝이 안되는 이유)'에서 영어가 들리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영어회화 학습시에는 여러가지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 자료별로 리스닝이 어려운 이유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다른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스터디 그룹, 학원 등에서 한국인 학습자와 영어로 대화할 때 들리지 않는다면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영어 단어를 모를 가능성이 큽니다.
학습자에 따라 영어구사 수준은 다양하겠지만, 외국에서 오랜 기간 생활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한국인 학습자들은 다른 한국인이 이해하기 쉬운 영어를 구사하는 편(발음, 단어 선택, 문장 구조 등)입니다.
성인이 영어 학습을 할 땐 한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그런 영향은 다른 학습자들이 외국인의 영어보다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단어, 문장 구조를 선택함에 있어 한국 학습자들이 즐겨 쓰는 패턴이 분명히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으로 인해 종종 콩글리쉬(Broken English)를 사용하게 되기도 합니다.
영어회화 학습 과정은 이런 한국어의 영향을 조금씩 벗어나 영어적 사고방식과 표현을 익히는 과정입니다.
2. 영어 뉴스가 안들리는 이유
영어 뉴스가 들리지 않을 경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원어민의 음성 중에서는 가장 명확한 발음이 뉴스 앵커의 발음일 것입니다.
뉴스가 들리지 않을 경우에는 1차적으로 영어 본연의 소리에 익숙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며, 들리더라도 이해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어를 모르거나, 영어 문장 구조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 본연의 소리에 익숙해지는 데는 일정 기간이 필요합니다. 영어 소리에 익숙해진다고 해서 바로 원어민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느 정도 소리에 익숙해진 후 단어, 문장 구조, 발음 이해 등 다양한 학습 과정에 의해 서서히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됩니다.
미국식 영어에 익숙한 학습자의 경우 영국식 영어가 잘 안들리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영국식 영어의 소리(발음, 리듬, 억양)에 익숙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영국식 영어에 노출이 되면 조금씩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커지게 됩니다.
단어나 문장 구조 이해 부족으로 인한 리스닝 문제는 뉴스 웹사이트의 기사를 읽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한국 학습자에게 읽고 이해하는 것은 듣고 이해하는 것보다 쉬운 편입니다. 뉴스 기사를 눈으로 보고도 이해가 안 된다면 듣고 이해하는 것은 더 어려울 것입니다.
3. 미드, 영화의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미드, 영화가 들리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미드와 영화는 시청자에게 즐거움을 준다는 목적이 있습니다. 즐거움을 주기 위해 배경이 되는 문화, 생활 습관 등을 담기도 하고 다양한 상징적 표현을 통해 장면을 극적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미드나 영화에 나오는 등장 인물들의 대화 속도는 일반적으로 영어회화 학습시 듣는 속도보다 훨씬 빠릅니다.
대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그들의 대화 속에 다양한 연음 법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또 우리가 알고 있는 단어인데도 발음 속도가 빨라 못 알아 듣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들의 대화는 뉴스 앵커의 똑똑 떨어지는 발음과 다르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각 등장 인물의 성격에 따라 말투도 달라지게 되는데 영어 학습자들이 이렇게 다양한 사람들의 영어를 장기간 접해 보지 못한 것도 들리지 않는 이유일 것입니다.
일상생활을 주제로 한 미드, 영화의 스크립트를 보면 생각보다는 쉬운 문장을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만약 어느 정도 들리는 것 같은데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문장의 이해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쉬운 문장을 사용했더라도 상황 전개가 빠르고 대화의 속도가 빨라 듣는 순간 이해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입니다.
How are you? 라는 문장은 우리가 얼마나 빨리 듣던, 어떤 사람의 목소리로 듣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이 문장이 이미 머리속에 확고히 자리잡고 있고 이 문장이 들리는 0.1초 순간에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드, 영화 속의 대화에서는 이와 같은 순간 이해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짧은 기간 학습으로는 어려운 것이 당연할 것입니다.
4. 스포츠 중계의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좋아하는 스포츠가 있을 경우 영어 중계 방송을 시청하는 것은 영어회화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런 스포츠 중계가 들리지 않고 이해가 되지 않을 때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째, 관련 스포츠 용어를 영어로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당 스포츠에 관심이 있다면 영어로 쓰여진 블로그, 뉴스, 기타 인터넷 자료를 통해 관련 용어를 익히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로는 스포츠 중계 영어의 억양이나 리듬에 익숙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스포츠 중계의 특성상 해설자는 때로는 높은 피치로, 때로는 낮은 피치로 이야기하며 상황을 실감나고 극적으로 설명합니다. 일반 대화보다는 더 과장된 모습으로 영어가 구사되는 것입니다. 물론 골프와 같은 스포츠는 예외가 될 것입니다.
좋아하는 스포츠가 있다면 관련 용어를 영어로 익히고 경기를 꾸준히 보면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입니다.
5. 한국 거주 원어민의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원어민의 이야기가 들리지 않고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는 위에 열거한 이유들이 대부분 해당될 것입니다.
학원에서 원어민 강사의 말이 들리지 않는다면 아직 영어회화 학습 시간이 얼마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원어민 강사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말을 하기 때문입니다. 원어민 강사의 영어는 많은 한국 학습자가 처음으로 듣고 익숙해지는 원어민의 영어일 것입니다.
학원 강사의 영어를 이해하더라도 원어민들의 모임에 참여해 그들의 대화를 들어보면 이해의 정도는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대화 속도가 학원 수업 때보다 훨씬 빠르고 이디엄, 슬랭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리스닝 실력이 원어민의 실제 대화를 이해하는 수준으로 올라간다는 것은 영어가 단순히 공부의 한 분야가 아니라 언어로써 머리속에 자리잡아 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단어, 문장 구조, 다양한 표현 등이 확고히 머리속에 자리잡게 되고 영어를 빠르게 받아들이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입니다.
6. 전문분야의 영어가 안들리는 이유
일반적으로 전문분야에 관련된 영어를 듣는 것은 학습자의 영어 실력이 일정 수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전문분야와 관련된 영어는 해외 거래처와의 전화 통화나 인터넷 관련 자료(유투브, 팟캐스트)를 통해 들을 수 있습니다.
전문분야 관련 영어가 들리지 않을 때 생각할 수 있는 첫 번째 이유는 관련 용어의 이해 정도입니다.
해외 거래처와의 통화에서는 매일 하는 업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다른 주제의 대화보다 이해가 더 쉬울 수 있습니다.
또 유투브, 팟캐스트에서 들을 수 있는 전문 자료는 일상대화 속도보다는 느린 편이며 대부분 명확한 발음으로 설명이 됩니다. 주로 전세계 영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이해가 어려운 슬랭이나 이디엄은 많이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따라서 관심 있는 전문분야라면 미드나 원어민의 실제 대화에 비해 리스닝이 쉬운 편입니다. 하지만 관련 용어를 모를 때는 이해의 정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둘째로, 긴 문장에 대한 이해(독해) 능력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을 설명하는 경우 때로는 긴 문장을 통해 의미 전달을 하기도 합니다. 긴 문장에 대한 이해 능력은 문장 구조에 대한 이해와 어휘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뒷받침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능력은 관련 분야 내용을 눈으로 읽으며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말하는 속도에 가깝게 눈으로 읽어갈 때 대부분 이해한다면 들으면서도 이해할 가능성이 클 것입니다.
맺음말
위 6가지 항목은 영어 학습 과정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리스닝 유형입니다. 영어를 언어로 받아들여 오랜 기간 학습 한다면 전체적으로 리스닝 실력이 향상될 것입니다.
하지만 가까운 미래에 성취하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목표와 관련된 부분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지혜도 필요할 것입니다.
Effort First, Then Methods.
Other articles in EnglishListening
스피킹이 되는데 리스닝이 안 된다? 18 May 2023
영어 리스닝은 영어 리딩을 어떻게 돕는가? 17 Aug 2022
리스닝 실력! 왜 계속 들어야 향상되는가? 15 Aug 2022
대학생처럼 듣고 초등생처럼 말하자 27 Mar 2022
딕테이션(Dictation)은 효과적인 학습 방법인가요? 12 Jul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