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말했습니다. 어떤 일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을 안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요. 이것이 영어학습에도 적용이 될까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왜 많은 학습자들이 사용하지 못할 표현에 시간을 투자하는지, 또 그런 과정을 어떻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으로 이끌 수 있을지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 언어학습의 레벨
아기가 말을 배우며 하는 첫 한 마디는 '엄마'와 비슷한 '음마' 일 것입니다. "엄마"를 시작으로 자신의 주변과 관련된 말을 배우기 시작하고, 자신의 본능에 관련된 말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아마 우리 인간이 배우는 가장 핵심 단어 중 하나는 '원하다(want)'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기가 언어를 통해 원하는 것을 얻는 과정은 본능에 충실한 기본적인 행동인 것이죠.
이렇게 기본적인 본능과 요구를 표현할 수 있게 되면, 비로소 주변에 대한 경험과 관찰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보통 초등학교를 가기 전의 아이들이 이런 단계에 있게 되며, 이들은 기본적인 문장 형태를 통해 다양한 상황을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언어 구사 능력이 한층 발전하게 됩니다.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표현들을 배우게 되고, 옳고 그름의 인간사를 표현하도록 배웁니다. 그러면서 다양한 상황의 즐거움과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모국어로써의 언어는 두뇌의 지적 능력 향상과 함께 발전하게 됩니다.
* 그와는 다른 영어학습
대부분의 성인 영어 학습자들은 이미 지적 능력이 성숙해진 후 실용 영어를 배우게 됩니다. 지적 능력이 성숙해져 있다는 것은 모국어가 이미 두뇌에 자리잡고 있다는 의미기도 합니다.
지적 능력이 성숙해 있고 여러 단계의 모국어 표현에 익숙해져 있기에 한국어로 배우는 영어에 있어서는 그 레벨이 어떤 것이든 큰 상관이 없는 편입니다.
단어 philosophical (철학의, 철학적인)을 본 영어 원어민 아이들은 고개를 갸우뚱 할 것입니다. '철학'의 의미가 명확히 두뇌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국의 성인 학습자들은 '철학'의 의미를 알기에 원어민에게도 어려운 이 단어를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단어 뿐 만이 아닙니다. 말을 배우는 원어민 아이들은 흔히 사용하지 않는데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 학습자들이 익히는 관용 표현들도 꽤 많습니다. 그 한국어 해석을 학습자들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익힌 표현, 그러나 잠자는 표현
Beat around the bush (핵심을 피해 돌려 말하다)와 같은 표현은 온라인에서나 "원어민 관용표현" 학습서면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표현 중 하나입니다.
여러분은 누군가가 이 표현을 말하는 것을 실제로 들어본 적이 있나요?
저는 지난 10여년 동안 리스닝을 하며 몇 차례 원어민들이 쓰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학습자들이(만났었던 여러 명의 미국 유학생 포함) 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저 역시 영어 대화 중에 이 표현을 사용한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고요.
지난 과정에서 이 표현을 사용하기에 적절한 상황이 한번도 없어서였을까요?
아님 이 표현을 더 확실히 익히지 못해서였을까요?
그것은 냉정히 말해, beat around the bush 라는 표현을 대화에서 여유있게 사용할 만큼 영어 레벨이 안 된 것입니다.
학습 시간으로는 어림잡아 1만 시간을 훌쩍 넘겼을 텐데도 아직도 그런 레벨이 안 된다면, 1,000시간, 500 시간(1시간씩 1.5년)을 공부한 학습자에게 이 표현은 유용한 것일까요? 아님 과한 것일까요?
*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친다면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쳐주려고 합니다. 어떤 표현을 먼저 가르쳐 주는 것이 좋을까요?
1) 정처 없이 헤매지 마. 네가 그런다고 너에게 떨어지는 건 하나도 없어.
2) 어디로 갈지 모르고 헤매지 마. 네가 그렇게 해도 네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없어.
두 문장 의미는 거의 같죠? 다른 점은요?
1) 문장에서는 '정처' 라는 단어가 나왔는데, 이것은 외국인이 이해는 할 수 있지만 실제 대화에서 사용하기가 힘든 단어입니다. '너에게 떨어지는 게 없다' 라는 그 다음 문장도 우리에겐 쉽게 이해되는 표현이지만, '어떤 것이 떨어진다'는 것이 '이득 되는 게 있다' 라는 의미를 모른다면 외국인에겐 어려운 표현이 됩니다.
어려운 표현이라는 것은 학습을 통해 이해를 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실제 상황에서 비원어민이 사용하기는 힘들다는 것입니다.
1) 문장이 우리 원어민에겐 더 흥미롭게 들리는데, 여러분 생각에는 어떤 문장을 외국인에게 가르쳐주는 것이 좋을까요?
* 하다 보면 언젠가는 도움되지 않을까?
영어를 평생 공부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영어 관련 직업을 가진 것도 아니고 업무에서 영어를 쓸 일이 없는데 영어를 평생 공부한다면요?
그런 사람도 거의 없겠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엔 안 좋은 시간투자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학습자에게 따라, 또 어떻게 영어를 배우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수적으로 얻는 것 없이 영어만을 공부하는 것은 안 좋은 삶의 투자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그렇게 하는 사람도 거의 없는 것이죠!
영어는 하다 보면 모두 알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지속적으로 접하지 않으면 그 과정에서 잊어버리는 것이 꽤 많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학습하는 것이 더 투자대비 효과를 올릴 수 있는 길일까요?
* 투자대비 효과를 올리는 방법 : 노출학습 + 암기학습의 조율
만약 여러분이 beat around the bush 라는 표현을 온라인, 학습서, 인강에서 처음 접했습니다. '돌려 말하다'의 한국어 의미는 알겠지만 도대체 beat around the bush 가 어떻게 '돌려 말하다' 가 된 것인지 이해되지 않습니다.
이럴 땐 과감히 접(경험)하는 정도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접하는 정도라고 눈으로 보고 바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두, 세번 소리내 읽으며 의미를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접해 본 후, 원어민과 대화를 하거나 리스닝을 하다가 이 표현을 들었는데 생각나지 않는다면 다시 검색해 그 의미를 찾아봅니다.
이런 학습 과정은 다각도 노출을 통한 학습입니다. 이 표현이 얼마나 내가 접하게 될지 모를 때 다양한 노출을 통해 점진적으로 학습하는 것입니다.
I wanted to be able to understand it, but I couldn't.
이런 문장을 봤습니다. 구조적으로 눈에 잘 들어오죠?
이런 표현은 암기학습, 심화학습을 통해 스스로 표현할 수 있을 정도로 익히는 것입니다. 단순히 노출되는 정도로 끝내는 것이 아니고요.
* 맺음말
넓게 보면 불필요한 표현, 불필요한 문법, 불필요한 문장 구조는 없습니다. 원어민 중 누군가는 그런 것들을 실제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죠.
문제는 학습자로서 흔히 사용하지 않을 표현을 먼저 익히게 되면 실력 향상이 늦는 것처럼 느껴지게 되고, 결국 그 과정에서 포기한다는 것입니다.
미드에 나온 표현 중 원어민이 아예 안 쓰는 표현이 있을까요? 원어민이 쓰기에 미드에 나왔겠죠?
하지만, 학습시간이 많지 않은 대부분의 학습자가 익힌다 해도 실제 상황에서 쓰지 못할 표현은 꽤 많이 있습니다. 이런 표현에 시간을 많이 들이는 것은 상급 단계에서 해도 늦지 않습니다.
관용 표현, 슬랭, 구조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 표현들은 눈과 귀로 접하는 노출학습을 하고 흔히 사용되는 표현이나 패턴, 단어 등은 명확하게 익히고 사용 훈련을 하는 것이 투자 대비 나은 학습 방법이 됩니다.
대부분 한국 학습자에게 영어를 잘한다는 것은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상큼, 짜릿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흔히 사용되는 표현과 패턴을 시간 지체 없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위해 초점을 맞추는 것이 제한된 학습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길이 됩니다.
Effort First, Then Methods.
Other articles in EnglishSpeaking
[영어말하기 팁] 문장이 길어지는 기술 02 Nov 2020
말하기 실력 향상! 관계 대명사를 쓰는 이유와 훈련법 02 May 2020
영어문장 외워서 말하는 것인가, 머리속으로 만드는 것인가? 11 Dec 2019
어떻게 해야 돈 버는 영어를 얻을 수 있는가? 23 May 2019
관용 표현 꼭 익혀야 할까요? (관용 표현 vs 일반 표현) 17 Feb 2019
Comments
한 가지 질문이 있는데 영단어도 많이 외워야하나요? 외워야 한다면 단어책 추천 좀 해주시면안될까요?
영어를 배우며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분야들이 여럿 있죠. 단어를 익히는 것도 그 중 하나고요. 5년이든, 10년이든 영어를 배우고 있다면 단어는 계속 익혀가게 됩니다. 끝이 없죠.
그 중요성은 단어를 단어책으로만 익히게끔 부축이기도 하는데요, 영어 단어는 다른 분야 학습(리딩, 말하기, 리스닝 등)을 하면서 함께 병행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단어 공부만을 위한 팁을 드린다면, 갖고 있는 (아님 별도로 구매해서) 영어회화 서적에 나오는 모든 단어를 먼저 익히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것이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시작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