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말하기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는 것은 어찌 보면 진부한 것일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 너무 많은 글들이 있고, 코리안잉글리쉬의 다른 포스트를 통해서도 거론되었던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다시 이야기하는 것은 그만큼 중요한 부분이고 오르기가 만만치 않은 산이기 때문입니다.
본 포스트를 통해서 그 어려움을 이해하고, 어떤 방향으로 학습을 진행해야 할지 재점검 하시기 바랍니다.



한국 성인에게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1.
"생각을 유창한 한국어로 떠올림"
영어를 아예 공부하지 않은 사람은 외국인 앞에서 말을 못해도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두뇌에 담겨진 것이 없으니 나오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문제는 어느 정도 영어를 접해 왔음에도 외국인 앞에서 말을 제대로 꺼내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여기서 '말'이라 함은 외국인을 만나 처음 나누는 몇몇 인사 표현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화가 좀 더 지속되기 위해서는 서로의 생각을 표현해야 하는데, 그 시점이 영어를 접해 온 사람에게도 입을 열기가 쉽지 않은 시점이 됩니다.
한국 성인에게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그 첫 번째 이유, 그리고 꼭 한국(!!) 학습자들이 이해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자신의 생각을 한국어를 할 때처럼 편안하게 떠올리는 것입니다.
'성인이 성인으로서 할 수 있는 생각을 떠올리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요?'
한국 성인이 그 동안의 습관처럼 구체적이고 성인스러운(!) 생각을 하는 것은 문장을 시작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 되곤 합니다.
한국어를 할 때처럼 생각을 복잡하게 떠올린다면, 그런 생각은 영어식 사고방식(곧, 영어 문장의 구조)과는 확연히 다른 구조를 갖게 됩니다. 한국어로 떠올린 다소 복잡한 생각을 영어로 순식간에 옮기는 것은 대부분의 학습자가 오르기 쉽지 않은 단계입니다.
그것은 결국 동시 통역사들이 직업으로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영어를 꽤 높은 수준으로 함과 동시에 두 언어간 변환 훈련을 상당 시간 경험해야 그런 수준에 오를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에게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2.
"문장의 시작점을 찾지 못함"
두 번째 이유는 첫 번째 이유의 연장선으로도 볼 수 있는데요, 그것은 영어 문장의 시작점을 찾지 못하는 것입니다.
물론, 많은 학습자들이 그 시작점으로 선택하는 것은 바로 "I(나)" 입니다. 가장 떠올리기 쉽고 말하기도 쉽기 때문이죠.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떠올린 생각이 '나' 로 시작하지 않거나, '나'로 시작하더라도 이어지는 생각이 복잡하다면 역시 그것은 문장의 시작점을 제대로 찾지 못한 것입니다
영어도 인간의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언어이기에 주어 측면에서는 한국어나 영어나 비슷한 유형들을 갖고 있습니다.
- I, You, He, She 등의 주어로 시작하는 문장
(한국어에서도 '나', '그', '그녀' 등의 주어로 시작) - 동명사(Reading a book is . . .)를 주어로 시작하는 문장
(한국어에서도 '책을 읽는 것은 . . .' 과 같이 주어로 시작) - (동명사만큼 흔히 사용되진 않지만) To 부정사(To love someone is . . )를 주어로 시작하는 문장
(한국어에서도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 .' 과 같이 주어로 시작) - 명사절(What you should do is . . .)을 주어로 시작하는 문장
(한국어에서도 '네가 해야 하는 것은 . . .' 과 같이 주어로 시작)
그렇다고 모두 같은 것은 아니죠. 아래와 같은 형태는 한국어에서는 흔히 사용되지 않는 형태입니다.
- It 을 가주어로 사용하는 경우.
(It wasn't easy to solve the problem at all.) - What / How 를 이용한 감탄문
(What a beautiful building that is!) -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 의 형태
(The more articles you read at KoreanEnglish.org, the more you will understand the ins and outs of English learning.)
결국,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장 형태를 그 시작점으로 선택할지 빠른 판단이 필요하며, 그런 빠른 판단은 많은 반복 학습과 실전 훈련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한국 성인에게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3.
"문법을 명확히 알지 못함"
문법은 이해 문법과 사용 문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더 있군요. 시험 문법.
이해 문법은 말 그대로 영어 문장을 보거나 문법 규칙을 공부할 때 이해할 수 있는 문법을 말하는 것이며, 사용 문법은 그런 이해 문법에 떠올리는 속도와 학습자가 느끼게 되는 '감'이 합쳐진 것입니다.
문법을 아예 모르더라도 적정 수준까지는 영어 표현을 익히고 말하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서는 한계에 다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문법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결국 영어가 가진 한국어와의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며, 외운 문장으로는 폭넓게 응용해 사용하기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한국 성인에게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4.
"아는 단어, 다른 단어"
학창 시절에는 아는 단어가 눈으로 보고 이해하는 단어, 그래서 시험 문제를 풀 수 있는 단어였습니다.
그런데 실전에서 영어 말하기를 하며 단어를 골라 사용해 보면, 실전을 위한 단어는 이전에 익힌 단어에 더 많은 성분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게 됩니다.
발음, 강세, 여러 사용 용도, 변형된 의미, 어감.
단어를 자동차 바퀴에 비교할 때, 우리가 학장시절에 익혔던 단어는 결국 접합부가 없는 타이어 자체와 같습니다. 각 단어의 기본 의미는 가장 중요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몇몇 요소가 첨가되어야 실용 목적의 영어 단어로써 구실을 하게 됩니다.
한국 성인에게 영어 말하기가 어려운 이유 5.
"기억된 리듬의 부재"
영어의 네 학습 분야(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중 원어민들이 가장 많이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보통 학습자들보다 영어를 잘하는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것은요?
바로 리스닝입니다. 그냥 리스닝이 아니라 '몰입 리스닝' 이죠.
대부분의 한국 학습자들은 리스닝에 많은 시간을 들이지 못하곤 합니다. 바쁜 일상에서 제한된 학습 시간을 다른 분야에 할애하기도 급급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장기간의 영어 학습 마라톤을 생각한다면 리스닝은 가장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는 언어 학습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그런 이유로 저는 코리안잉글리쉬의 여러 글에서 효율적인 자투리 시간 이용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시간은 모자라고, 해야 할 것은 많고, 결국, 바쁜 일상에서 짜내고 짜낸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영어 학습에서 성공으로 가는 길입니다.
리스닝을 많이 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영어 표현들의 의미 뿐 아니라, 그들의 리듬에 익숙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영어 표현의 리듬은 무의식에 가깝게 우리 두뇌와 입과 몸에 스며들게 됩니다. 서서히 말이죠.
한 언어의 리듬을 익히는 것은 가장 어려운 부분이고, 가장 오래 걸리는 부분이지만, 언어를 배우는 측면에서 결코 손 놔서는 안 되는 부분입니다.
그렇게 기억된 리듬의 패턴이 많을수록 표현하는 영어는 원어민의 귀에 더 자연스럽게 들리게 되며, 선순환 과정으로 리스닝에서도 더 실력 향상을 꾀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이렇게 보니, 영어 말하기를 잘하기 위해 한국 성인으로서 넘어야 할 큰 산들이 몇 개 있죠~?
다른 포스트에서도 예를 들었었는데요, 수 백개 레고 블럭으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우주선을 계속 공부한다고 그 우주선을 언젠가 스스로 만들게 될까요? 불가능하진 않지만,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레고 우주선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첫 단계는 레고 블럭으로 기본적인 것들을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그렇게 계속 쉬운 것만 만들다 보면 어느 순간 갑자기 우주선을 만들게 될까요?
쉬운 것에서 조금씩, 조금씩 더 어려운 것으로 도전을 해 가야 합니다.
어려운 것에서 쉬운 것으로의 접근도 비효과적이지만, 계속 쉬운 것에만 머물러 있는 것도 올바른 접근이 아닙니다.
쉬운 것에서 시작해 기초를 탄탄히 하고 지속적인 도전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 이것이 한국 성인에게 어려운 영어 말하기 실력을 쌓아가는 지름길입니다.
본 포스트가 여러분의 영어 말하기 학습에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Effort First, Then Methods.
Other articles in EnglishSpeaking
중급 영어 말하기 직역 학습이 해결한다! 02 Feb 2021
[영어말하기 팁] 문장이 길어지는 기술 02 Nov 2020
동사구(Phrasal Verbs) 학습과 사용은 왜 그리 어려울까요? 26 Jun 2020
직역으로 진행하는 영어 말하기 훈련 과정 E25 21 May 2020
말하기 실력 향상! 관계 대명사를 쓰는 이유와 훈련법 02 May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