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는 한국어와 다른 문장 구조를 갖습니다. 학습자 입장에서는 그런 영어 문장 구조를 외우기만 하면 실력이 향상될 것 같지만 그리 쉽진 않습니다. 이 다른 문장 구조는 결국 생각하는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원초적 질문
아이가 묻습니다.
아이 : "아빠, 왜 I you love 가 아니고 I love you 로 말해야 해?"
이에 대한 적절한 대답이 무엇일까요?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그렇게 말해~" 라고 했지만 뭔가 석연치 않고 아이도 이해를 못하는 듯 합니다.
이 상황이 몇 번 반복되며 다음과 같이 더 설득력있는 대답을 하게 됩니다
아빠 :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결과를 중요시해서 결과를 먼저 말하고, 우리는 결과보다 관계를 중요시해서 관계를 먼저 말해.
영어에서는 'I love' 처럼 내가 사랑한다는 게 우선 중요해. 누구를 사랑하는 지, 무엇을 사랑하는 지는 다음이고. 반면 한국어에서는 '나를 너를' 과 같이 관계가 더 중요해. 내가 너를 미워하는지, 좋아하는 지는 다음이고.
그렇게 영어에서는 결론 먼저 이야기하고 주변 상황이 어떤지 뒤에 하는데, 한국어에서는 그런 관계부터 시작해, 주변 상황을 다 설명하고 나중에 결론을 말해. 그래서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봐야 한다는 말이 있는 것이고."
아이 : "아빠 그럼 영어는 앞 말만 들으면 끝나는 거네?"
아빠 : "음 . .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게 끝나는 것은 아니고."
꼬리를 무는 아이의 질문에 모두 대답할 순 없었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해시킬 수 있었습니다.
영어 문장 구조
성인 학습자가 영어를 어려워하는 이유가 이 부분입니다. 두뇌에 떠오른 이미지나 생각이 한국어로는 쉽게 표현되지만 구조가 다른 영어로 말하려니 처음부터 막히게 됩니다.
단어나 표현을 몰라서, 문법 규칙을 몰라서 등 여러 세부 이유를 들 수 있지만 그 핵심은 생각하는 사고방식의 차이 입니다.
시간이 충분하면 문법 규칙을 잘 적용시켜 원하는 문장을 말할 수 있겠지만 실제 대화 시 그런 시간이 주어지진 않습니다. 이것이 시간을 더 가질 수 있는 글쓰기가 실전 대화보다 쉽게 느껴지는 이유입니다.
영어학습과정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여러 분야를 포함하는데 그 속에 조용히 숨겨져 있는 핵심 과제는 생각 프로세스를 바꾸는 것입니다. 관계 형성의 생각 프로세스에서 결론 중심의 생각 프로세스로의 변화이죠.
개념 이해가 빠른 출발
학습자는 오랜 학습을 통해 이 개념을 서서히 이해하고 체득하게 되는데 이것을 미리 이해하면 영어 대화 뿐 아니라 문법 학습, 리스닝, 읽기 등 다양한 학습에 도움됩니다.
영어교육 전문가들은 이 개념에 대해 체계적인 이론을 통해 설명하지만 핵심은 동일합니다.
이 개념을 잘 이해하면 억지로 외우려고만 했던 여러 문법 규칙과 표현 패턴이 보다 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It is ~ that ~, to 부정사 구문을 대신하는 it 등입니다.
맺음말
영어는 분명 한국어와 많이 다른 언어입니다. 이론이 아닌 실용적으로 영어를 배운다면 그 기본 개념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힘들고 오랜 과정을 효과를 보며 지속하게 도울 것입니다.
위 개념을 학습시에도 수시로 상기시키고 실제 대화에서 테스트 해보며 영어학습의 기본으로 삼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 시간이 더할수록 영어효과가 나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Effort First, Then Methods.
Other articles in EnglishSpeaking
영어글쓰기는 영어회화 실력에 도움될까요? 15 Mar 2023
내성적인 사람, 완벽주의자를 위한 스피킹 학습법 06 Mar 2023
영어대화 시 왜 같은 표현만 사용할까? 18 Feb 2023
출력학습은 언제부터 해야 할까요? 07 Feb 2023
스피킹을 위한 영어책 어떻게 선택할까요? 02 Jan 2023